# '경제/재테크 관련 자녀 교육/육아' 주제 블로그를 왜 할까??
[자립을 위해 부모가 해줄수 있는 교육 과목]
ㅡ 부모가 자녀에게 무언가를 해주고, 이끌어 가고, 같이 발맞춰 나고, 뒤에서 살짝 받쳐주는 것의 궁극적인 결론은 자녀의 자립일꺼라 생각합니다. 지금도 계속 '육아/자녀교육' 에 대해 계속 공부와 고민을 해 나가고 있기에 향후 생각이 좀더 달라질 수는 있겠으나, 현재까지의 결론은 '자녀의 자립' 이 자녀교육의 끝일 것이라 생각되요. 또한 이것이 자녀로부터 받을 수 있는 최고의 효도일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요.
ㅡ 이렇게 부모가 자녀에게 해줄수 있는 교육 과목에 있어서, '경제/재테크' 라는 주제는 과거에는 중요시되지 않았다고 기억해요. 다시 말해, 항시 수학/영어 교과목 만이 자녀교육에 있어 1번으로 생각되는 것이 과거의 분위기였고, '경제/재테크' 에 대한 교육은 대부분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고 경험상 느낍니다. 이렇게 살아온 대부분의 세대들은 부모로부터의 용돈만을 받으며 생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밖에 '경제 학습' 을 했을 것이며, 실제론 나이가 든 이후에야 회사를 다니거나 사업을 직접해보며 '경제/재테크' 학습하게 되었을 것입니다.
ㅡ 이렇게 일생에서 꼭 필요한 '경제/재테크' 스터디 과목을, 용돈을 받는 시기 또는 학교를 다니는 시기부터 몸에 배도록 이른 학습을 했다면, 회사를 다니거나 운영할때 큰 리스크나 상처는 피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. 또한 경제 관념을 사전에 머리에 새기고 있었다면, 성인이 되었을때 시간을 더 세이브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. 그렇기에 부모가 좀더 관심을 두고 자녀에게 '경제/재테크' 컨텐츠에 대해 작은 화두를 던져주고 조금 앞서서 리드를 해준다면, 부모가 아이에게 해줄수 있는 아주 효과적인 교육 과목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[시기의 중요성]
ㅡ 저에게는 1명의 남자 아이만 있습니다. 아직은 무얼 배운다고 하기는 이를수 있는 시기이고, 현재론 어린이집만 다니고 있습니다. 어린이집을 다니며 친구들과의 활동을 통해 사회성을 배우고 있고, 또 담임 선생님과 옆반 선생님으로부터 여러 수업/활동을 통해 배움을 해나가고 있는 수준입니다.
ㅡ 유대인 부모는 아이가 3세 때부터 경제 교육을 시작한다고 하며, 생후 8개월부터 아이에게 동전을 쥐어주고 저금통에 넣는 연습을 같이 합니다. 이는 아이가 숟가락이나 젓가락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과 같이, 돈이라는 개념/물질은 무엇이고, 이를 어떻게 사용/관리해 나가야 하고, 이를 활용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등 숟가락/젓가락을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어려서부터 서서히 생활속에서 길들여지고 루틴이 될수 있도록 리드를 해준다고 합니다.
ㅡ 이렇듯 자녀가 자기자신의 자아가 생기고, 독립적으로 무엇을 먹을 수 있고(=숟가락질/젓가락질), 돈을 주고 받거나 물건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라면, 충분히 '경제/재테크' 자녀 교육을 할 수 있는 적기의 시기라고 생각합니다. 또한 초/중 학생이 되어 용돈을 받아 사용/관리하고 있다면, 그 또한 교육을 할 수 있는 적기 시기라 생각합니다. 자녀가 사회/시장 환경에 아무것도 없이 노출되기 전, 사전에 가정에서 관심을 갖고 자녀와 함께 '경제' 교육을 같이 한다면, 자녀에게 큰 무기와 힘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입니다.
'육아 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책 도서 리뷰 - 아이 자녀 부자 수업 - 경제 교육 망치는 부모의 3가지 말 습관 (6) | 2023.04.08 |
---|---|
MZ세대 알파세대 아이 자녀교육 - 만 3살 유튜브 영어 컨텐츠 채널 3가지 추천 (요약 정리) (2) | 2023.04.06 |
만 3살 아이 자녀교육 영어 어떻게 공부해나갈까? 영어 공부 3가지 방법 팁 가치관 (6) | 2023.04.05 |
MZ세대 알파세대 아이 자녀교육 필요한 주제 3가지 (4) | 2023.04.02 |
육아와 재테크, 육테크 소개 (0) | 2023.03.31 |
댓글